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9)
[프로토콜] UDP UDP (User Datagram Protocol)전송 계층에 속한 비연결성 프로토콜TCP처럼 데이터 전송을 하지만 훨씬 단순하며 빠름신뢰성, 순서 보장 없음 1. [특징] 비연결형 (Connectionless) 연결 설정 없이 바로 데이터를 전송 신뢰성 없음 데이터가 손실, 중복, 순서 꼬임이 나도 알아채지 않음 속도 빠름 체크할 게 적기 때문에 TCP보다 전송 속도가 빠름 헤더가 작음 8바이트로 단순해서 부하 적음 2. [UDP 헤더 구조]3-way handshake는 TCP 프로토콜이 연결 과정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 과정 Source Port출발지 포트 번호 Destination Port목적지 포트 번호 LengthUDP 헤더 + 데이터 길이 Checksum오류 검사 (선택..
[프로토콜] TCP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택배에 비유할 수 있음.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손실 없이 도착했는지 확인하고, 순서대로 도착하도록 함OSI 7계층 중 4계층인 '전송 계층' 에서 사용됨 1. [주요 기능] 3-Way Handshake연결 시작 시, 클라이언트-서버 간 신뢰 형성 과정 Sequencing데이터의 순서 번호를 붙여 전송 Acknowledgment (ACK)받은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보냄 Retransmission데이터 유실 시 재전송 Flow Control수신 측 상태를 고려하여 전송 속도 조절 Congestion Control네트워크 혼잡 상태를 감지하고 속도 조절 2. [3-Way Handshake]3-way handshake는 TCP 프로토콜이..
SecureCRT 배경 색 바꾸기 1.   화면 상단 메뉴 바 에서   Options > Session Options 를 클릭합니다.     2.   좌측에 위치한 메뉴트리에서 Appearance 를 클릭합니다.     3.   Current color scheme 에서 원하는 색상 조합을 선택합니다.       4.   Fonts 에서 선택한 색상 조합을 미리 볼 수 있고  [Font...] 버튼을 클릭하면 글씨체와 글씨 크기도 조절 할 수 있습니다.      5.   white/black 으로 SecureCRT 화면 배경색과 글자 색, 글자 크기 변경 완료
[네트워크 스위치] 업링크 포트(Up link) 업링크 포트(Up link Port) 의 정의 네트워크 스위치의 업링크 포트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 스위치 또는 라우터와 연결하기 위한 주요 포트로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상위 네트워크로 전달하거나 다른 네트워크 세그먼트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 포트는 일반적으로 최종 사용자의 컴퓨터와 프린터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반면, 업링크 포트는 다른 네트워킹 장비에 대한 직접 연결을 용이하게 하여 네트워크를 일반 범위 이상으로 확장한다. 이 기능은 우수한 성능을 갖춘 하나의 시스템으로 동작하기 위해 여러 스위치를 함께 연결해야 하는 계층적 네트워크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1. 업링크 포트의 역할상위 네트워크로 연결 : 업링크 포트는 스위치를 상위 라우터, 코어 스위치 또는 인터넷으로 연결하는데 사용..
윈도우 10(Windows 10) PC에 공유폴더 만들기 공유폴더란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사용자와 파일을 공유할 수 있도록 설정된 폴더입니다. 이 기능을 통해 인터넷 연결이 없어도 같은 로컬 네트워크(LAN) 내에 있는 다른 컴퓨터와 장치나 파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즉, 두 대 이상의 컴퓨터가 같은 라우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인터넷 연결 없이도 공유폴더를 통해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공유폴더 생성하는 방법  1. IP 고정하기다른 PC에서 내 컴퓨터의 공유 폴더에 언제든 접근하도록 하려면 IP가 바뀌지 않도록 고정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공유기를 사용하거나 DHCP를 통해 IP를 할당받는 환경이라면 내 컴퓨터의 IP가 계속 바뀌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미 고정IP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라면 이 단계는 건너뛰어도 좋습니다.  1)  PC..
패킷의 종류와 구조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패킷 종류: 비트(Bit) 구조: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 스트림 특징: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 특성을 다루며, 주로 케이블, 허브, 리피터 등의 장치에서 작동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패킷 종류: 프레임(Frame) 구조: 목적지 및 출발지 MAC 주소, 데이터, 오류 감지를 위한 체크섬 등의 정보 특징: 네트워크 장비 간의 직접적인 통신을 제공하며, 에러 검출 및 수정, 흐름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로 이더넷 프레임이 여기에 속한다.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패킷 종류: 패킷(Packet) 구조: 출발지 및 목적지 IP 주소, 데이터, 서비스 유형(TOS, Type of Service), 패킷 식별 정보..
레지스트리의 역할 레지스트리는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구성 데이터베이스이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Windows 시스템의 구성 정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사용자 설정 및 운영 체제의 작동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일종의 계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정 목적에 따라 그룹화된다. 레지스트리의 주요 기능 구성 정보 저장 : Windows 운영 체제의 다양한 구성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에는 하드웨어 설정, 설치된 소프트웨어 정보, 네트워크 구성, 사용자 환경 설정 등이 포함된다. 시스템 설정 : 시스템 설정을 저장한다. 부팅 프로세스, 디바이스 드라이버 로드, 서비스 시작 등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환경 설정 : 각 사용자의 환경 설정은 레지스트리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로그인 할 때..
네트워크의 분류 크기에 따른 분류가 일반적이다 BAN (Body Area Network) 무선 인체에 부착된 장치가 통신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네트워크 PAN (Personal Area Network) 무선 테더링이 가능한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네트워크 LAN (Local Area Network) 유선/무선 건물 하나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네트워크 라우터와 스위치가 연결되는 구간을 일반적으로 LAN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LAN 과 LAN을 연결한 네트워크 범위가 애매하여 최근에는 굳이 구분해서 잘 사용하지 않는 개념이다 WAN (Wide Area Network) 유선 가장 큰 네트워크, 국가와 국가간 라우터와 라우터가 연결되는 구간을 일반적으로 WAN구..